주요 콘텐츠로 건너뛰기
냉전과 새마을 :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와 분단국가체제
본서는 새마을의 전모를 동아시아 냉전의 맥락에서 거시 역사적으로 탐구하고, 새마을에 기반한 ‘1972년 분단국가체제’의 역사적 성격을 규명한다. 1972년 수립된 분단국가체제가 ‘냉전의 새마을’을 토대로 삼은 체제이자, 동아시아 냉전의 근대화 원리를 공유하고 관철한 체제였음을 논증한다. 이 책은 4부로 구성된다. 1부에서는 ‘냉전의 새마을’의 원형을 이루는 1930년대 만주국 농촌사회를 고찰한다. 만주국에서 일제가 벌인 지역사회 지배정책을 고찰하여 ‘냉전의 새마을’의 원형을 이루는 공간과 제도의 등장을 살펴보고, 만주국의 조선인 ‘방공전사’들이 한반도 분단 과정에서 ‘냉전전사’로 거듭나며 자신의 경험을 전파하는 과정을 살핀다. 2부는 시공간을 달리한 역사적 경험이 동아시아 냉전의 전개 속에서 교류되는 과정을 다룬다. 한국군이 동아시아 냉전의 연쇄와 환류에 능동적인 주체로 참여할 수 있었던 계기로 5·16군사쿠데타와 베트남전 참전을 주목한다. 3부는 1960년대 말 1970년대 초 ‘역사적 전환기’로 불렸던 시기를 조명한다. 미소중심의 냉전체제가 흔들린 1960년대 후반부터 1972년까지 새로운 안보관의 확립되며 다른 선택지들이 차단되고 냉전의 새마을에 기반을 둔 분단국가체제가 수립(1972년)된 계기와 과정을 살핀다. 4부는 말라야, 베트남 등지에서 시행된 동아시아 냉전전략이 한국으로 흡수되며, 농촌에서 '냉전의 새마을'이 만들어져 가는 과정을 미시적으로 살펴본다.
저자/에디터
허은
출판사
창비
ISBN
978-89-364-8297-8 93910
출판년도
1 Jan 2022 – 30 Nov 2022
전문영역
인문학
주제
역사
지역
동아시아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