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백: 피부색의 문화정치

미백: 피부색의 문화정치
아시아인이 미백을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인가?
포스트식민 시대의 미백에 대한 탐구
‘미백美白’은 한국 미디어 문화의 보편적이고 핵심적인 요소다. 드라마 속 배우는 흠결 없이 깨끗하고 밝은 톤의 피부로 등장하고 음악 방송에 출연한 아이돌 가수는 특수한 질감을 구현하는 조명 효과 속에서 말 그대로 빛을 발산한다. 미백의 빛과 색은 한국 스타를 구성하는 고유 매력으로 받아들여져, ‘K뷰티’라는 일종의 한류 콘텐츠로서 전 세계적으로 유통된다. 이처럼 한국의 이상적인 아름다움의 재현은 늘 하얗고 맑은 피부를 기본으로 한다. 한국의 콘텐츠가 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고 K뷰티는 관광 상품으로까지 안내된다. 그렇다면 미백 피부란 무엇인가?
미백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책 《미백: 피부색의 문화정치》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미백이란 무엇인가라는 기본적인 질문으로 시작해, 다양한 층위의 질문으로 미백을 파고든다. 이를 통해 미백을 둘러싼 욕망과 권력, 신체와 정체성의 문제, 미시 정치 등을 들여다본다. 한국의 미백 문화를 연구한 저자 박소정은 이 책을 통해 한국 문화연구의 탈식민주의적, 페미니즘적 상상력을 펼쳐 보인다. 아울러 한류 연구가 향후 한류 속 식민 욕망에 대해 어떻게 비판적 정치성을 지녀야 하는지 일깨운다.
《미백: 피부색의 문화정치》는 미백이라는 일상적인 미의 실천을 포스트식민적 담론을 통해 파헤치고 있다. 미백에는 여러 속성이 부여되어 있으며, 개개인의 경험에 따라 다르다. 과거의 화장품 소비자에게 미백이란 백인이나 일본 여성이 지닌 피부색으로 상상되었다면, 디지털 이미지 속에서 살아가는 오늘날의 젊은 세대에게 미백은 ‘SNOW’ 같은 카메라 필터 애플리케이션 속에서 발견하는 자신의 자연스러운 모습이다. 어떤 여성에게 미백은 귀찮지만 어쩔 수 없이 갖춰야 하는 미의 조건이라면, 어떤 남성에게 미백은 자신을 가꾸는 방식에 눈을 뜨게 되는 계기다. 이처럼 미백은 일상 영역에 편재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매개되며, 큰 사건 단위의 무게보다 곳곳에 흩어진 미세한 무게로 존재한다. 저자는 들뢰즈와 가타리가 제시한 ‘배치’ 개념을 통해 산발적으로 흩어져 다양한 물질적・비물질적 형태로 존재하는 미백의 요소들을 한데 묶어 살펴본다.
미디어는 종종 선진국 백인에게 우월한 위치를 부여한다. 지난 수백 년에 걸쳐 만들어진 백인 권력은 무의식적으로 작동한다. 피부색을 통해 차별하는 것이 인종 차별이라면, 미백은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욕구를 넘어서 계급적 욕망을 내포한다. 미백은 전 지구적으로 존재하는 피부색을 사다리를 오르내리며 한국인의 인종・종족적 위상을 재구성하고 있다. BTS의 미백 보정 사진을 보며 백인의 미의 기준을 답습한다고 우려의 목소리를 내는 해외 팬들이 있는가 하면, 이러한 한국식 미백의 아름다움이 새로운 미의 표상을 제공하고 있다는 해석과 함께 한국인을 닮고 싶어 하는 욕망이 지구촌 곳곳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미백은 이미 ‘표피’의 문제를 넘어서는 현상이다. 미백은 단순히 한 개인의 미적 욕구만이 아니라 다층적인 문화 정치적 함의를 지닌다.

“백인의 패권에 목소리를 내는 한국인과 자신보다 어두운 피부색을 지닌 유색인을 하대하는 한국인은 서로 별개의 인물일까?”

코로나19는 세계적으로 아시아인 혐오를 가시화하는 계기가 되었고, 세계 곳곳에서 한국인이 혐오 범죄에 노출되기도 했다. 서구권에서의 인종 차별 및 백인중심주의에 대항하는 목소리는 한국에서도 나오고 있다. 반면 2019년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에 거주 중인 외국인의 숫자는 200만 명을 웃돈다. 그중 결혼 이민자, 외국인 노동자 비율은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다. 이들을 향한 한국 사회의 차별은 만연해 있다.
그러나 한국인 대다수는 인종 차별 문제를 인식하지 못하며, 한국 내 인종차별주의에 대한 논의는 미약하다. 전 지구적 인구 이동의 흐름 속에서 한국은 이미 다문화 사회다. 많은 이들이 다문화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현실 속 크고 작은 인종적・문화적 장벽을 성찰하지 못하고 이질적 외모를 지닌 이를 ‘다른 존재’로 여긴다. 이러한 편견의 근거는 대한민국 영토 바깥으로 나갔을 때 더욱 복합적인 양상을 띤다. 미디어–뷰티 복합체로서의 K뷰티 산업 안에서 미백은 초국적 상품으로 유통된다. 한국의 마스크팩이 진열장을 가득 채우고 한국 스타가 모델인 광고가 걸린 동남아시아의 쇼핑몰은 이제 놀랍지 않을 정도로 흔한 풍경이 되었다. ‘서울’이라는 단어를 내건 화장품이 유통되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동북아시아 미의 기준에 입각한 아시아 내 미의 위계가 생기기도 하고, 피부색에 기반을 둔 차별적 논리가 드러나기도 한다. 이는 미백이 신식민적 헤게모니가 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이 책은 한국의 미백 문화가 아시아 내에서 기존의 1세계적인 표상에 구속되지 않는 탈식민적 역량을 내포한 문화 현상임과 동시에 우리 안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제국주의적 욕망을 추동할 수 있음을 경계한다. 이는 최근 K콘텐츠를 통해 세계적으로 부상하는 한류를 어떻게 바라보고 읽어내야 하는지를 보여 줄 뿐만 아니라, 미백이라는 주제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인종차별주의를 논의할 수 있는 장을 새롭게 마련해 준다.



지은이
박소정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언론정보학과에서 한국의 미백 문화에 대한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BK연구교수로 있으며, 주로 미디어 문화를 통해 관찰되는 정체성과 친밀성의 문제를 연구하고 있다. 논문으로 <신자유주의 한국 사회에서 연애하기>, <K–뷰티의 미백 문화에 대한 인종과 젠더의 상호교차적 연구를 위한 시론>, <K뷰티산업의 피부색주의>, <Performing Whiteness> 등이 있고, 책으로는 《연애정경》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는 《화이트: 백인 재현의 정치학》이 있다.
추천사

《미백》은 피부색이라는 민감한 주제에 정면으로 도전하며 인종의 문화정치학을 과감히 재구성한다. 저자는 독창적인 접근으로 미백 배치가 서구와 아시아의 미디어 영토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풍부한 예시와 세밀한 분석을 통해 보여 준다. 거대 담론에 안주하는 연구자들을 자극하는 이 책은 한국 문화연구의 탈식민주의적 상상력을 독려한다.
— 강재호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이 책은 미백 배치 개념을 통해서 어떤 신체 이미지들이 제시되는지, 이 이미지가 무엇을 생산하는지를 촘촘하게 분석하여 제시한다. 한정된 시각에서 서술되던 미백이라는 주제를 인종·종족, 성차와 관련해 새롭게 사고할 수 있는 장을 열어 준다.
— 김수아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재현 분석, 인터뷰, 현장 관찰에 담론 분석은 물론 기대고 있는 이론의 요소요소를 놓치지 않으려는 성실한 노력과 동아시아를 담대하게 횡단하며 벌인 세밀하고도 날카로운 분석은 이 책의 탁월함을 더욱 돋보이게 만든다.
— 원용진 서강대학교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미백》은 인간과 사물, 기술과 산업, 욕망과 정동이 복잡하게 뒤얽혀 있는 동시대 미백 문화의 현장을 능수능란한 줌인과 줌아웃으로 보여 준다. 전 세계 문화 시장에 한류가 거센 해일처럼 밀어닥치고 있는 이때, 이 책은 ‘국뽕’에 취하지 않은 비판적-탈식민적 한류 연구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사실을 모범적으로 입증한다.
— 이상길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교수

K뷰티 실천의 핵심을 미백이란 개념을 통해 접근한 이 책은 탈식민의 욕망과 식민의 욕망이 어떻게 동전의 양면처럼 얽혀 있는지를 탈민족주의적 언어로 설명한다. 이 책은 한류 연구가 향후 어떻게 한류 속 식민 욕망을 비판적으로 드러내는 정치성을 띠어야 하는지를 일깨우며, 미래를 주도할 한류 연구자 세대의 탄생을 선언한다.
— 홍석경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

저자/에디터

박소정

출판사

컬처룩

ISBN

979-11-92090-03-0

출판년도

1 Jan 2022 – 30 Nov 2022

전문영역

사회과학

주제

국제관계 및 정치
사회
인권
예술과 문화

지역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