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사 연구의 쟁점
이 책은 2000년대 이후 크게 확대된 한국 현대사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되짚어보고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한 것이다. 한국 현대사는 그동안 동아시아의 역사 갈등, 역사교과서 논란, 과거사 청산 문제 등 역사 인식과 해석을 둘러싼 각종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이러한 해석을 둘러싼 갈등은 역사 인식 차원의 정치적 대립을 넘어 일선 교육현장이나 일상생활에 직접 영향을 미칠 만큼 그 갈등 양상이 증폭되어 왔다. 이처럼 정치적 논란이 분분한 가운데서도 한국 현대사에 관한 학계의 연구는 꾸준히 성장해왔다. 국가주의나 반공주의 등 연구의 장벽이 점차 제거되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 학계에서의 연구가 본격화되어, 해방과 분단, 한국전쟁과 냉전으로 이어진 한국 현대사의 전개 과정과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정치사·외교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이후 이러한 연구성과들을 바탕으로 경제사, 사회사, 문화사 영역까지 포괄하는 다양한 연구성과가 제출되면서 연구주제나 방법, 자료 면에서 새로운 시도들이 추구되고 있다. 이를 통해 2000년대 이후 한국 현대사 연구는 양적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그러나 연구의 양적 성장이 질적 성장으로 이어졌다고만 볼 수는 없다. 역사학·정치학·외교학·문학·사회학·인류학 등 다양한 학문분과에서 각각의 학문분과의 내적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분산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분과학문을 넘어선 연구자 간의 긴밀한 상호소통이 부족했고, 문제의식의 공유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따라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각 분야의 유기적 연관성을 고려하면서 거시적인 차원에서 한국 현대사의 전체적인 역사상을 구축하고 한국 현대사의 특질을 해명하려는 노력은 미흡했다. 거시적인 역사상을 구축하려는 노력이 방기되는 상황에서 사회적으로 대두하는 역사 해석 관련 논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려는 노력 또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다. 그 결과 증폭되어가는 국내외적 역사 갈등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는 한계도 노출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고려할 때 이제까지의 파편화된 연구 흐름을 극복하고 연구의 양적 성장이 질적 성장으로 이어지며, 교육 현장과 대중들의 인식 수준에서 가중되고 있는 혼란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보다 거시적이고 체계적인 틀로 한국 현대사의 전개를 설명할 수 있는 연구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기존의 연구현황을 제대로 이해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숙고해보는 노력일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이 책은 먼저 크게 1) 냉전, 분단, 전쟁 그리고 국가/민족, 2) 공간 이동과 주체의 변용, 3) 권위주의, 개발주의 그리고 일상과 문화라는 3개의 주제영역으로 나누었다. 이 주제는 다시 분단과 냉전, 민족주의 이념의 변화, 농촌과 도시, 국경을 넘는 이주, 노동의 변화, 가족과 일상생활의 변화, 소비 및 대중문화의 변화 등으로 세분화하여 기존 연구의 흐름을 정리하면서 새로운 연구 경향을 발굴·소개하는 동시에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먼저, 분단, 냉전, 전쟁 등 식민지배 이후 한반도를 둘러싼 거시적이고 구조적인 변화에서 1961년 5.16군사쿠데타 이후 시작된 국가 주도 자본주의화를 둘러싼 정책 변화와 권위주의 통치를 살폈다. 이어 농촌 중심에서 도시를 기반으로 한 사회관계 변화와 주체의 변화 그리고 이런 공간적 이동 속에서 형성된 시민사회 민주화운동으로 범위를 넓혔다. 세부 주제로서 전통적 가족관계/형태의 변화, 1970~1980년대 대중사회, 대중문화가 본격화되며 눈에 띄기 시작한 새로운 대중의 등장, 일상의 구성 그리고 소비문화의 대두 등 2000년대 이전 연구에서 주목하지 않았던 다양한 층위를 포괄적으로 다루었다. 이는 1990년대 이후 한국 현대사의 영역이 정치사, 운동사 중심에서 사회사, 사상사, 노동사, 문화사 등으로 그 폭이 확장되었지만, 새로운 흐름에 대한 평가는 종합적으로 이뤄지지 못했다는 단점을 극복한 것이기도 하다. 이 책은 2000년대 이후 확장된 연구의 외연 속에서 제기될 수 있는 현대사 연구의 경험적, 인식론적 쟁점을 최대한 포괄하고자 한 본격적인 시도라는 점에서 한국 현대사의 전체 모습에 접근할 수 있는 입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출판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ISBN
9791158666866
출판년도
1 Jan 2022 – 30 Nov 2022
전문영역
인문학
주제
국제관계 및 정치
도시 / 지방
사회
국내정치
인권
역사
젠더와 정체성
경제
디아스포라와 이주
전쟁 / 평화
지역
동아시아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