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과 메가아시아
이 책은 아시아에 대한 새로운 성찰과 전망을 구하기 위해 ‘메가아시아(Mega-Asia)’의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아시아의 역사를 해양의 관점에서 살펴보았습니다.
‘메가아시아’의 실천이 단순한 희망과 염원이 아니라 타당성 있는 목표라는 확신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인가? 장구한 역사 경험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밖에 없습니다. 주지하다시피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전망은 곧 지난 역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요구합니다. 새로운 아시아상의 개념을 염두에 두고 역사적 고찰을 진행하고, 역사에 대한 통찰을 통해 미래에 대한 조망을 섬세하게 조율하는 쌍방향의 성찰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미래의 가능성의 뿌리를 확인하기위해 아시아의 역사를 지금과는 다른 시각에서 들여다보기로 했습니다. 그 동안 많은 연구자들과 일반인 모두 아시아의 역사를 지나치게 협소하고 관성적인 태도로 접근하지는 않았을까?
인간의 삶과 역사는 무한한 가능성을 안고 진행해 왔을 터이나, 단편적인 해석에 몰두하면 심층의 의미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미래의 가능성의 근원을 찾아보기 위해 새로운 관점을 세우고자 했을 때 우리가 주목한 무대는 해양입니다.
바다의 특징은 거칠 것 없는 유연한 소통과 교류, 그로 인한 융합입니다. 국경으로 구획된 협량한 내륙 지역에서 벗어나 광활한 수평선 아래 넓게 툭 트인 해양 공간이 새로운 문명의 요람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준비해 온 다양한 문명 요소들이 분명 중요한 미래 자산이 될 것입니다.
고일홍은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번성했던 국제 교역항인 사천 늑도 사례를 통해 고대 동아시아 해양 네트워크의 작동 방식을 탐구하였습니다.
권오영은 고대사회에 한반도와 일본열도가 해상 실크로드의 교역망에 포함되어 있었을 개연성을 거론합니다.
권오영의 문제의식은 김규호·박준영 두 연구자의 실증 연구로 이어집니다. 이들은 유리구슬 문제에 집중하여 고대 인도–태평양의 해양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탐구합니다.
송승원은 말레이 세계 이슬람 왕국들의 기원 신화를 비교 연구하여 이 지역에 특이하게 발전한 이방인 군주제의 전통을 분석합니다.
주경철은 근대 이후 유럽 세력이 아시아의 바다로 들어와 침략과 교역 행위를 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네덜란드동인도회사의 활동을 추적합니다.
강희정은 화인 디아스포라와 페라나칸 문화를 탐구합니다.
김종호는 남중국해 화인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람, 자본, 물자, 그리고 문화의 이동을 살펴봅니다.
여운경은 탈식민지 동남아시아의 해상 밀무역과 해적을 추적합니다.
이민용은 정규 증기선 노선의 성립과 확장, 활용을 바탕으로 미국과 동아시아가 해양과 관계 맺어온 역사를 다각도로 고찰하고, 제국 주도의 팽창과 세계화가 당시 실제로 대양을 횡단한 사람들의 이동과 어떻게 맞물렸는지 분석합니다.
유성희는 19세기 태평양 세력의 등장과 메가아시아의 부상을 주제로 삼는 실증적 연구이면서 동시에 지금까지 이 책에서 다룬 내용들 전체를 이론적으로 되짚어보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글로벌한 대전환을 가져온 중요한 요소로 특히 태평양 세력의 등장에 주목합니다.
‘메가아시아’의 실천이 단순한 희망과 염원이 아니라 타당성 있는 목표라는 확신을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인가? 장구한 역사 경험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밖에 없습니다. 주지하다시피 미래에 대한 새로운 전망은 곧 지난 역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요구합니다. 새로운 아시아상의 개념을 염두에 두고 역사적 고찰을 진행하고, 역사에 대한 통찰을 통해 미래에 대한 조망을 섬세하게 조율하는 쌍방향의 성찰이 필요합니다. 우리는 미래의 가능성의 뿌리를 확인하기위해 아시아의 역사를 지금과는 다른 시각에서 들여다보기로 했습니다. 그 동안 많은 연구자들과 일반인 모두 아시아의 역사를 지나치게 협소하고 관성적인 태도로 접근하지는 않았을까?
인간의 삶과 역사는 무한한 가능성을 안고 진행해 왔을 터이나, 단편적인 해석에 몰두하면 심층의 의미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미래의 가능성의 근원을 찾아보기 위해 새로운 관점을 세우고자 했을 때 우리가 주목한 무대는 해양입니다.
바다의 특징은 거칠 것 없는 유연한 소통과 교류, 그로 인한 융합입니다. 국경으로 구획된 협량한 내륙 지역에서 벗어나 광활한 수평선 아래 넓게 툭 트인 해양 공간이 새로운 문명의 요람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지금까지 역사적으로 준비해 온 다양한 문명 요소들이 분명 중요한 미래 자산이 될 것입니다.
고일홍은 기원전 2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까지 번성했던 국제 교역항인 사천 늑도 사례를 통해 고대 동아시아 해양 네트워크의 작동 방식을 탐구하였습니다.
권오영은 고대사회에 한반도와 일본열도가 해상 실크로드의 교역망에 포함되어 있었을 개연성을 거론합니다.
권오영의 문제의식은 김규호·박준영 두 연구자의 실증 연구로 이어집니다. 이들은 유리구슬 문제에 집중하여 고대 인도–태평양의 해양 네트워크의 연결성을 탐구합니다.
송승원은 말레이 세계 이슬람 왕국들의 기원 신화를 비교 연구하여 이 지역에 특이하게 발전한 이방인 군주제의 전통을 분석합니다.
주경철은 근대 이후 유럽 세력이 아시아의 바다로 들어와 침략과 교역 행위를 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네덜란드동인도회사의 활동을 추적합니다.
강희정은 화인 디아스포라와 페라나칸 문화를 탐구합니다.
김종호는 남중국해 화인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사람, 자본, 물자, 그리고 문화의 이동을 살펴봅니다.
여운경은 탈식민지 동남아시아의 해상 밀무역과 해적을 추적합니다.
이민용은 정규 증기선 노선의 성립과 확장, 활용을 바탕으로 미국과 동아시아가 해양과 관계 맺어온 역사를 다각도로 고찰하고, 제국 주도의 팽창과 세계화가 당시 실제로 대양을 횡단한 사람들의 이동과 어떻게 맞물렸는지 분석합니다.
유성희는 19세기 태평양 세력의 등장과 메가아시아의 부상을 주제로 삼는 실증적 연구이면서 동시에 지금까지 이 책에서 다룬 내용들 전체를 이론적으로 되짚어보는 기회이기도 합니다. 글로벌한 대전환을 가져온 중요한 요소로 특히 태평양 세력의 등장에 주목합니다.
출판사
진인진
ISBN
978-89-6347-538-7 93300
출판년도
1 Dec 2022 – 31 Jan 2023
전문영역
인문학
주제
고고학
역사
지역
글로벌 아시아(아시아 및 그 외 지역)
인터아시아
해양아시아
중앙 아시아
동아시아
남아시아
동남아시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