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세도성: 제1권 중국도성 건설과 입지
중국 역대 도성 가운데 도성의 대명사라고 불릴 만큼 독특한 위치를 점하는 수당 장안성의 도성구조는 호한체제적인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저자는 수당 장안성이 중국고대 도성의 유산을 물려받았지만 동시에 외래적인 호(胡)적인 요소를 받아들여 새로운 도성 양식을 완성시켰다고 보았다.
저자는 이 논지를 증명하기 위해 먼저 중국고대 도성이 어떤 이론과 원칙에 의해 건설되었는가의 문제를 다루었다. 도성 건설의 이론으로서 ��주례�� 고공기 장인 영국조 원칙이 제시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도성이 그 모델이 되었는가를 이 책에서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수당 장안성의 궁성위치가 편북하게 된 요인을 한인전통에서 찾으려는 최근의 학계 움직임에 대하여 그 부당성을 서술하고 호족적인 요인이 더 많았음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육조도성의 형제가 북조-수당 도성에 영향을 주었다는 기존 학자들의 주장에 대해 그렇지 않다는 점을 논술하였다.
이 문제를 다각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저자는 중국 고대도성이 어떤 지형적 조건을 택하여 위치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저자는 중국 역대왕조들이 건축한 도성들이 당송변혁기를 기점으로 입지의 유형이 완전히 변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자연적인 조건을 배경으로 하여 도성이 강간약지(强幹弱枝)를 바탕으로 그 왕조 흥망의 ‘근거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장안형이라면, 병력에 의지하여 수도를 방어하는 평원형의 도성을 개봉형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근거지란 국토의 일부분이 일시적으로 반란에 휩싸이더라도 도성이 지닌 힘으로 다시 원상회복시킬 수 있는 지역을 지칭한다. 반면 평원형은 도성이 국토의 중앙에 있어 경제활동의 중심으로 사통팔달하는 지역으로 도성과 국가 운영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지역이라는 것이다. 낙양은 장안형에서 개봉형으로 바뀌어 가는 과도기적 도상의 입지여건을 가지고 있다고 파악했다.
저자는 이 논지를 증명하기 위해 먼저 중국고대 도성이 어떤 이론과 원칙에 의해 건설되었는가의 문제를 다루었다. 도성 건설의 이론으로서 ��주례�� 고공기 장인 영국조 원칙이 제시되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도성이 그 모델이 되었는가를 이 책에서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수당 장안성의 궁성위치가 편북하게 된 요인을 한인전통에서 찾으려는 최근의 학계 움직임에 대하여 그 부당성을 서술하고 호족적인 요인이 더 많았음을 강조하였다. 아울러 육조도성의 형제가 북조-수당 도성에 영향을 주었다는 기존 학자들의 주장에 대해 그렇지 않다는 점을 논술하였다.
이 문제를 다각적으로 검토하기 위해 저자는 중국 고대도성이 어떤 지형적 조건을 택하여 위치하게 되었는가를 살펴보았다. 저자는 중국 역대왕조들이 건축한 도성들이 당송변혁기를 기점으로 입지의 유형이 완전히 변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 자연적인 조건을 배경으로 하여 도성이 강간약지(强幹弱枝)를 바탕으로 그 왕조 흥망의 ‘근거지’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장안형이라면, 병력에 의지하여 수도를 방어하는 평원형의 도성을 개봉형이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근거지란 국토의 일부분이 일시적으로 반란에 휩싸이더라도 도성이 지닌 힘으로 다시 원상회복시킬 수 있는 지역을 지칭한다. 반면 평원형은 도성이 국토의 중앙에 있어 경제활동의 중심으로 사통팔달하는 지역으로 도성과 국가 운영의 비용을 낮출 수 있는 지역이라는 것이다. 낙양은 장안형에서 개봉형으로 바뀌어 가는 과도기적 도상의 입지여건을 가지고 있다고 파악했다.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ISBN
9788952120489
출판된
2020
전문분야
사회과학
주제
고고학
역사
지역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