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3 조선시대의 불교사상
조선 초 득통 기화(己和)로부터 조선 말 초의 의순(意恂)에 이르는 총 28인이 남긴 저술의 핵심 부분을 발췌 번역, 조선시대 불교사상을 정리한 불교철학자료집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3 ─ 조선시대의 불교사상』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한국의 불교문헌 중에서 철학 사상적 가치를 함축하고 있는 저술을 뽑아 번역하고 해제를 붙인 자료집이다.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1 ─ 삼국과 통일신라의 불교사상』(2005),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2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2006)과 함께 3부작을 이루게 된다. 이 책은 고 심재룡(沈在龍) 선생님께서 연구책임자가 되어 서울대학교 한국학장기기초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던 연구 과제의 최종 결과물로, 한국불교사의 미개척 분야로 공감하는 조선시대 불교사상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여 향후 연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조선 초 득통(得通) 기화(己和)로부터 조선 말 초의(艸衣) 의순(意恂)에 이르는 총 28인이 남긴 저술의 핵심 부분을 발췌 번역하였으며, 전체 내용을 시대별, 주제별로 묶어 총 7장으로 나누었다. 자료 각각에 번호를 붙이고 제목, 그리고 간단한 해설을 붙였다. 독자의 편의를 위하여 한문 원문도 함께 실어 국역을 대조할 수 있게 하였다. 자료 속에 등장하는 개념어 또는 그것의 사용 맥락에 대하여 자세한 주석을 부기하였으며, 자료집으로서의 쓰임새를 강화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색인도 첨부하였다. 조선시대 불교사상 연구에 입문하는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
이벤트(1)책소개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3 ─ 조선시대의 불교사상』은 조선시대에 간행된 한국의 불교문헌 중에서 철학 사상적 가치를 함축하고 있는 저술을 뽑아 번역하고 해제를 붙인 자료집이다.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1 ─ 삼국과 통일신라의 불교사상』(2005), 『한국철학자료집: 불교편 2 ─ 고려시대의 불교사상』(2006)과 함께 3부작을 이루게 된다. 이 책은 고 심재룡(沈在龍) 선생님께서 연구책임자가 되어 서울대학교 한국학장기기초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하였던 연구 과제의 최종 결과물로, 한국불교사의 미개척 분야로 공감하는 조선시대 불교사상에 대한 자료를 정리하여 향후 연구 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조선 초 득통(得通) 기화(己和)로부터 조선 말 초의(艸衣) 의순(意恂)에 이르는 총 28인이 남긴 저술의 핵심 부분을 발췌 번역하였으며, 전체 내용을 시대별, 주제별로 묶어 총 7장으로 나누었다. 자료 각각에 번호를 붙이고 제목, 그리고 간단한 해설을 붙였다. 독자의 편의를 위하여 한문 원문도 함께 실어 국역을 대조할 수 있게 하였다. 자료 속에 등장하는 개념어 또는 그것의 사용 맥락에 대하여 자세한 주석을 부기하였으며, 자료집으로서의 쓰임새를 강화하기 위하여 광범위한 색인도 첨부하였다. 조선시대 불교사상 연구에 입문하는 길잡이 역할을 할 것이다.
이벤트(1)책소개

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ISBN
9788952129567
출판된
2020
전문분야
사회과학
주제
종교
지역
대한민국